당 사이트에서의 성경 명칭

기독교성경보통의 기독교 교인들이 들고다니는 성경전서(신구약 모두포함)

히브리성경기독교성경의 구약 부분만을 의미함.

히브리성경 원전히브리어로 쓰여진 (예수가 읽은) , 또는 유대인에 의한 영어번역 성경

기독교성경의 구약은 히브리성경 원전과 순서, 내용이 교묘히 바뀌어 있다. "구약"이라 칭함은, 회당에서 예수가 읽은 히브리성경 원전을 "오래되어 낡아 없어질" 이란 전제가 깔린 표현이다.

마태복음 4장 스불론 납달리 - 이사야 의견을 들어보자

히브리성경 이사야 8장 23절에서 이사야는 스불론 납달리 두 지역 이름을 불러냈다.

마태복음 4장 13-16절에서 이사야가 불러낸 두 지역 스불론 납달리가 인용된다.

예수가 나사렛을 떠나 갈릴리 호숫가 납달리도(道) 쯤 되는 행정구역의 한 도시 가버나움에서 타향살이를 시작했다, 그로 인해 이전에 사망의 땅 그곳에 메시아의 빛이 비추게 되었다고 마태복음은 전한다.

과연 그럴까, 마태복음 4장 스불론 납달리 - 이사야 의견을 들어보자

이전 "마태복음 4장 스불론 납달리" 세편의 글에 대한 보충 포스트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이해하고 있었던 이사야 8장은 잠시 내려놓기를 권한다. 거의 암호에 가까운 고어체의 한글성경이 올바른 이해에 대한 커다란 장애물이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사용하는 기독교성경은 개역한글, 영어성경은 히브리성경을 유대인이 영어로 번역한 것을 사용한다.

이사야 8장 1절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너는 큰 서판을 취하여 그 위에 통용 문자로 마헬살랄하스바스라 쓰라

And the Lord said to me, "Take for yourself a large scroll, and write on it in common script, to hasten loot, speed the spoils.

그 위에 통용 문자 배움이 없는 사람도 금방 알아 볼 수 있는 글자로

마헬살랄하스바스 = 마헬살랄 + 하스바스 서로 다른 그러나 뜻은 같은 "마헬살랄"과 "하스바스" 로 조합된 한 단어.

마헬살랄(Maher-shalal) hasten loot 잽싼 약탈 (앗수르왕 산헤립의 북이스라엘 약탈)하스바스(hash-baz) speed the spoils 빠른 약탈(느부갓네살을 재촉 시드기야를 약탈), 이사야는 태어날 아이 이름을 통해 침략 노략질을 예언한다.

이사야 8장 2절

내가 진실한 증인 제사장 우리야와 여베레기야의 아들 스가랴를 불러 증거하게 하리라 하시더니

And I will call to testify for Myself trustworthy witnesses, Uriah the priest and Zechariah the son of Jeberechiah."

이사야 8장 3절

내가 내 아내와 동침하매 그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은지라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되 그 이름을 마헬살랄하스바스라 하라

And I was intimate with the prophetess, and she conceived, and she bore a son, and the Lord said to me, "Call his name Maher-shalal-hash-baz.

마헬살랄하스바스1절 참조.

이사야가 말하고 있다, 아내와 잠잤더니 애 생겨서 낳았다. 기억나나 ? 7장 14절 처녀가 잉태... 지금 자기 아내 뱃속 그 아이에 대해 이사야는 말하고 있는데 어떻게 "처녀가 잉태" 이런 말을 마태는 할 수 있는가 ?

이사야는 아하스 왕에게, 이사야 자신도 알고 아하스 왕도 아는 "그 젊은 여자 - the young woman" 가 임신했다고 말했다.

이사야 7장은 반드시 영어성경 NRSV 버전을 읽으시길. 관사 the는 말하는이와 듣는이가 다 알고 있는 사물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당 사이트 이사야 7장 제대로 읽기 라는 제목의 글 세편 참조.

이사야 7장 제대로 읽기(3)
이사야 7장 제대로 읽기(2)
이사야 7장 제대로 읽기(I)

이사야 8장 4절

이는 이 아이가 내 아빠, 내 엄마라 할 줄 알기 전에 다메섹의 재물과 사마리아의 노략물이 앗수르 왕 앞에 옮긴 바 될 것임이니라

For, when the lad does not yet know to call, 'Father' and 'mother,' the wealth of Damascus and the plunder of Samaria shall be carried off before the king of Assyria."

아이가 아직 엄마/아빠를 말하지 못할 때, 앗수르 왕이 다메섹(아람 수도)과 사마리아(북이스라엘 수도)를 정복했을 것이다.

왕하 16:9 앗수르 왕이 그 청을 듣고 곧 올라와서 다메섹을 쳐서 취하여 그 백성을 사로잡아 길로 옮기고 또 르신을 죽였더라

이사야 8장 5절

여호와께서 다시 내게 일러 가라사대

And the Lord continued to speak to me further, saying:

지금 하려는 이야기는 여호와 하나님이 나 이사야에게 한 말이다. 예언하는 사람이 누구인지를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신약의 복음서 저자들은 자신이 누구인지 분명하게 밝히지도 그 어떤 빌미도 없다.

이사야 8장 6절

이 백성이 천천히 흐르는 실로아 물을 버리고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을 기뻐하나니

Since this people has rejected the waters of the Shiloah that flow gently, and rejoice in Rezin and the son of Remaliah

천천히 흐르는 실로아 물을 버리고: 다윗의 집 유다 왕실을 reject 퇴짜놨다, "이 백성"은 셉나와 그에 동조하는 세력이다.

르신과 르말리야의 아들을 기뻐하나니: 르신과 베가는 예정된 앗수르 침략에 맞서는 동맹을 맺는다. 남쪽 유다는 셉나 세력의 의도대로 남쪽의 이집트와 우호관계에 들어간다.

영어표현 하나 챙기고 가자,

I am interested in mountain climing, 등산 좋아한다. 여기서 in 다음에 대상이 나온다.

rejoice in Rezin 하면 Rezin 이라는 대상에 대해 즐겁다(rejoice).

Rezin(르신)이 사람이니까,,, 결국은 Rezin에 관련된 일들 Rezin에게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 흥겨워한다.

결국, 르신과 베가를 칭송하는 셉나 일당의 행태에 부하뇌동하는 다수파에 휩쓸리는 상황을 묘사한다.

이사야 8장 7절

그러므로 주 내가 흉용하고 창일한 큰 하수 곧 앗수르 왕과 그의 모든 위력으로 그들 위에 덮을 것이라 그 모든 곬에 차고 모든 언덕에 넘쳐

Therefore, behold the Lord is bringing up on them the mighty and massive waters of the river-the king of Assyria and all his wealth, and it will overflow all its distributaries and go over all its banks.

주 내가 흉 ... 에 덮을 것이라: 이거 머여 내가 덮을거라는 겨 주가 덮을 거라는 겨...

그래서 영역본이 도움된다. the Lord is: 분명히 '주'라고 표현했다.

성경에서 큰 하수는 대개 영어 The River로 번역된다. 정관사 the 그리고 알파벳 대문자로 시작하는 River는 유프라테스 강을 가리킨다.

그 강에 연결되는 수로들은 주변 왕국들이 건설한 것으로서 물을 공급받던 네크워크였다.

유프라테스 강이 범람했다 치자. 물이 주변 왕국들 모든 수로 수로마다 넘쳐나서 결국 둑을 넘어 왕국 전체 홍수가 난다.

수로에 흘러 들어오는 물을 보면 앗수르 왕의 은덕이 생각나겠지만,,, 홍수나면 (앗수르 왕의 힘이) 모든 곬에 차고 모든 언덕에 넘쳐 어떻게 어디까지 미치고 있는지를 묘사하는 표현이다.

이사야 8장 8절

흘러 유다에 들어와서 창일하고 목에까지 미치리라 임마누엘이여 그의 펴는 날개가 네 땅에 편만하리라 하셨느니라

And it will penetrate into Judah, overflowing as it passes through, up to the neck it will reach; and the tips of his wings will fill the breadth of your land, Immanuel.

목에까지 예루살렘까지.

앞절 7절과 거의 같다.

여기서 눈길을 끄는 표현 임마누엘 Immanuel -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신다는 뜻으로서 이사야 아내 뱃속의 아이 이름이다.

그의 펴는 날개가 네 땅에 편만하리라 - 이게 아마 대단히 애매한 번역이다. 여호와 하나님의 날개로 오해하 가능성이 높다. 앗수르 왕의 위력을 비유한 유프라테스 강의 범람한 물이 왕국을 휩쓸 것이라는 예언이며, 그래서 이사야가 God will be with us 즉 임마누엘을 외치고 있다.

민족에게 앞으로 펼쳐질 일들을 보면서 탄식하는 이사야의 단발마 외침이다.

이사야 8장 9절

너희 민족들아 훤화하라 필경 패망하리라 너희 먼 나라 백성들아 들을지니라 너희 허리를 동이라 필경 패망하리라 너희 허리에 띠를 띠라 필경 패망하리라

Join together, O peoples, and be broken, hearken, all you of distant countries. Gird yourselves and be broken, gird yourselves and be broken.

훤화하라 喧譁하다 시끄럽게 지껄이며 떠들다, 솔찍히 이 단어 여기서 처음 봤다.

"야! 너희들 해볼테면 해봐, 그래봤자 다 망할거야!" 빈정(?)대는 뉴앙스를 풍기는 표현으로 생각하면 쉽다.

앗수르와 붙어먹는 여러 족속들, 왕국들에 대해 이사야가 빈정(?)대고 있다.

이사야 8장 10절

너희는 함께 도모하라 필경 이루지 못하리라 말을 내어라 시행되지 못하리라 이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심이니라

Take counsel and it will be foiled; speak a word and it will not succeed, for God is with us.

함께 도모하라 누구하고 함께 뭘 도모하란 말인가 ? 9절 '민족들아' 에서 이사야가 말하고자 하는 대상이 들어난다. "유다와 적대적인 민족들" 너희들 끼리 전쟁준비위원회 같은 거 만들어서 잘 해봐, 아마 안될거야 여호와가 함께하시기 때문이다. 여호와를 믿는 구석이 있는 이사야의 빈정(?)거림이다.

이사야 8장 11절

여호와께서 강한 손으로 내게 알게 하시며 이 백성의 길로 행치 말 것을 내게 경성시켜 가라사대

So has the Lord spoken to me with the overwhelming power of prophecy, and He admonished me from going in the way of this people, saying:

여호와께서 강한 손으로 내게 알게 하시며 뭘 알게 하시나 ? 목적어가 불분명. 5절 영어표현과 거의 흡사, 다만 the overwhelming power(매우 강력한 힘) 라는 표현이 더해젔다, 좀 더 쎄게 예언하게 되었다 요정도.

이 백성의 길로 행치 말 것: 셉나(Shebna) 일당과 같이하지 말라. 히스기야왕보다 베가왕이 더 왕답다고 말한 사람이었다.

경성시켜 가라사대: 깨우쳐 이르시되. 역시 여기서 처음 본 단어 경성, 현대인에겐 참 고약한 번역이다.

경성시키는 내용이 12절 부터 16절까지, 즉 이사야를 향한 여호와의 말이다.

이사야 8장 12절

이 백성이 맹약한 자가 있다 말하여도 너희는 그 모든 말을 따라 맹약한 자가 있다 하지 말며 그들의 두려워하는 것을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며 놀라지 말고

'You shall not call a band everything that this people calls a band; and you shall not fear what it fears nor attribute strength to it.

너희는 셉나 일당에게 부하뇌동하지않는 사람들아 비록 너희들이 소수파일지라도 '우리는 다수의 의견에 대해 다수니까 무조건 따르겠다' 라고 생각하지 말라. 다수가 생각하는 것이 옳지 않으면, 즉 여호와의 방식이 아니면 따르지 마라. 출애굽기 23장 2절.

a band, (사악한) 무리 즉 셉나 추종세력.

그들의 두려워하는 것(what it fears) 셉나 일당이 두려워하는 것: 이사야는 앗수르 산헤립을 예언한다.

이사야 8장 13절

만군의 여호와 그를 너희가 거룩하다 하고 그로 너희의 두려워하며 놀랄 자를 삼으라

The Lord of Hosts-Him shall you sanctify, and He is your fear, and He gives you strength.

너희가 그를 거룩하게 여기다 you sanctify him he becomes the place of sanctification, 결국 그가 피할 곳(sanctuary)이라.

and He gives you strength 여호와가 힘을 주시리라. 한글성경은 이 부분 번역이 누락되어 보인다.

이사야 8장 14절

그가 거룩한 피할 곳이 되시리라 그러나 이스라엘의 두 집에는 거치는 돌, 걸리는 반석이 되실 것이며 예루살렘 거민에게는 함정, 올무가 되시리니

And it shall be for a portent and a stone upon which to dash oneself and for a rock upon which to stumble for the two houses of Israel, who came to be for a snare and a trap for the inhabitants of Jerusalem

이스라엘의 두 집 베가 왕의 북이스라엘과 남쪽 유다왕국의 셉나 일당을 가리킨다.

to dash oneself, to stumble for 두 표헌은 같은 동작 행위, 발에 걸리적거린다는 의미.

stone 돌rock 바위 다른 표현이나 "바위" 상징.

그것(it)은 징조(portent)와 돌 그리고 바위가 될건데 이스라엘 두집 사람들은 그 돌/바위에 발 걸려 허둥댈 것이다. 예루살렘 거주민들에게는 함정과 올무가 된다. 그러면 주어 그것(it)이 뭔가 ?

셉나 일당과 북이스라엘 왕국 베가 왕, 자기들 맘에 안드는 남유다 다윗왕조를 자신들 구미에 맞는 괴뢰정부를 세우려는 협잡이다. 기억나나 ? 7장 1장. "이스라엘 왕 베가가 올라와서 예루살렘을 쳤으나 능히 이기지 못하니라" 북이스라엘이 유다를 향한 르신-베가 연합군 참가 요청이 묵살되었음을.

이사야 8장 15절

많은 사람들이 그로 인하여 거칠 것이며 넘어질 것이며 부러질 것이며 걸릴 것이며 잡힐 것이니라

And many shall stumble upon them, and fall and be broken, and be trapped and caught.

잡힐 것이니라 북이스라엘 사마리아가 앗수르에 의해 함락된다. 호세아의 구테타 베가왕 죽이고, 앗수르는 백성들 잡아 다른 지역으로 몽땅 이동.

이사야 8장 16절

너는 증거의 말씀을 싸매며 율법을 나의 제자 중에 봉함하라

Bind this warning, seal the Torah in My disciples.'

Bind this warning 주의환기 혹은 경고 표현인데 '증거의 말씀을 싸매며' 참 고약한 번역이다.

(1절부터 지금까지 해온) "이 경고"를 바인더에 잘 묶어둬라 후세들이 보도록 미래를 위해.

8장 5절 이후에 이사야가 일관되게 가리키는 집단 - "이 백성 this people" - 이 있다.

반유다(히스기야) 셉나일당을 필두로하는 유다왕국의 다수파와 야곱 열지파 북이스라엘왕국 사람들이다.

이사야는, 도무지 여호와의 말을 듣기는 커녕 들을 준비조차도 안된 사람들 - "이 백성 this people" - 을 향해, 토라를 학생들에게 잘 가르쳐(seal the Torah) 미래를 위해 잘 보존하도록 해라. 현재 이 백성은 답이 없다.

이사야 8장 17절

이제 야곱 집에 대하여 낯을 가리우시는 여호와를 나는 기다리며 그를 바라보리라

And I will wait for the Lord, Who hides His countenance from the House of Jacob and I will hope for Him.

야곱 집에 대하여 낯을 가리우시는 앗수르에 망한 북이스라엘 향하여. 신명기 31장 17절 죽음을 앞둔 모세에게 여호와는 이렇게 말한다. 야곱의 자손들이 가나안에 들어가면 그 땅 지방신에 경배할 것이다, 그 때 그들을 향해 얼굴을 가리겠다고 - hide my face.

그를 바라보리라 여호와가 내가 한 말들(바인더에 묶인)을 성취하기를 소망한다.

여호와를 떠난 유다 왕국의 암울한 미래에 대한 이사야의 탄식이다.

이사야 8장 18절

보라 나와 및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자녀들이 이스라엘 중에 징조와 예표가 되었나니 이는 시온 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

Behold, I and the children whom the Lord gave me for signs and for tokens in Israel, from the Lord of Hosts, Who dwells on Mount Zion.

나와 및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자녀들이 이스라엘 중에 징조 내게 주신 자녀와 내(이사야)가 징조이다. 윗절에서 비록 여호와는 우리로 부터 얼굴을 가렸지만 내게 주신 징조가 소망이다.

이사야 8장 19절

혹이 너희에게 고하기를 지절거리며 속살거리는 신접한 자와 마술사에게 물으라 하거든 백성이 자기 하나님께 구할 것이 아니냐 산 자를 위하여 죽은 자에게 구하겠느냐 하라

And when they say to you, "Inquire of the necromancers and those who divine by Jidoa bone, who chirp and who mutter." "Does not this people inquire of its God? For the living, shall we inquire of the dead

혹이 라는 우리 표현은 영어로 대부분 3인칭 복수 They 번역이다. 여기서는 열방나라 사람들을 지칭한다.

아하스 히스기야 왕 시절, 앗수르가 펼친 강제이주정책은 점령지에서 소란/반란을 없애려는 주목적이었다.

강제로 붙들려 올 때 신까지 모셔온 그들에게도 시간은 똑 같이 흐른다, 토착민들과 섞여 살며, 전도도하고, 결혼도하고, 이방인들의 이방 종교행사가 왕국내에 암세포처럼 퍼져나간다. 이에 대해 이사야 같은 선지자 입을 통해 여호와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모세에게 명한 율법준수를 요구한다.

21세기 한국으로 일하러 온 외국인 노동자들 몸만 달랑 와서 돈벌고 자국으로 돌아가나 ? 한국에 체류할 때 그들도 모여서 자기들 종교행사도 하고 만나서 교류도 하게된다. 계약종료 후 돌아가는 대신 귀화해서 이땅에 뿌리밖고 살아갈 사람들이 자기 종교를 쉽게 버릴 수 있을까 ?

열방 사람들이 물으라 하거든 에 대해 답할 차례이다. 20절 "마땅히 율법과 증거의 말씀을 좇으라" 까지가 답이다.

이사야는 이방신 제사장들을 지절거리며 속살거리는 신접한 자와 마술사로, 새처럼 짹짹 중얼중얼거리는, 즉 사람의 말을 할 줄 모르는 사람들로 묘사했다. 개신교 교회당에서 벌어지는 이름하여 "통성기도" 그것도 떼거지로... 글쎄 뭐가 다를까.

지절거리며 속살거리는 신접한 자와 마술사에게 가는 유다 백성들은 그들만의 이유가 있다. 여호와는 모든 것을 계시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사람들은 계시되지 않은 것의 미래가 알고 싶었기에 이방신당에 갔다. 이사야가 지적한다.

이사야는 유다가 자신의 미래를 여호와 의지대로 결정하기를 권고한다.

백성이 자기 하나님께 각 족속마다 자기들 고유의 신에게. 외부로 부터 침략이 많을 수록 많은 외래 종교가 들어와 토착화 과정이 일어난다.

죽은 자에게 구하겠느냐 조상신을 불러내 복을, 자기들의 미래를 책임져 달라고 할거냐 ?

백성이 자기 하나님께 구할 것이 아니냐 "Does not this people inquire of its God? 모호한 한글 번역, 이 백성은 하나님에게 묻는(부탁하는) 백성 아닌가?, 즉 하나님에게 물어야지, 다른 신(우상) 사람들 말 듣지마라.

이사야 8장 20절

마땅히 율법과 증거의 말씀을 좇을지니 그들의 말하는 바가 이 말씀에 맞지 아니하면 그들이 정녕히 아침 빛을 보지 못하고

For the Torah and for the warning?" If they will not say the likes of the thing, that it has no light.

그들의 말하는 바 If they will not say "그들", 여호와 율법을 택한 다윗왕조를 깍아내리는 유다 사회지도층 다수파를 말하며 앗수르에 대해 군사외교전략(친이집트)을 추구했던 사람들이다. 이들(반역세력)은 이사야의 율법, 증거의 말씀 들을 준비가 안된 사람들이다. 또한 백성들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니까 나도 그렇게 ..." 라고 다수파의 생각에 무조건 추종 휩쓸림을 염려한 이사야는 소수/다수에 휘둘리지 마라, 율법과 증거의 말씀에 맞지 않으면 따라하면 안된다고 말한다.

이사야 8장 21절

이 땅으로 헤매며 곤고하며 주릴 것이라 그 주릴 때에 번조하여 자기의 왕 자기의 하나님을 저주할 것이며 위를 쳐다보거나

And the one who passes therein shall suffer hardships and hunger, and it shall come to pass, when he is hungry and wroth, that he shall curse his king and his god and face upwards.

난해한 한글번역이다.

이 땅으로 헤매며 the one who passes therein (유다)영토 그 안쪽으로 지나가는, 즉 유다에 반역(친베가왕 친이집트) 세력이 유다땅에서 suffer hardships and hunger 주림과 고통을 겪을 것이다.

그 주릴 때에 번조하여 when he is hungry and wroth the one = he 그가 주려서 미칠지경일 때

it shall come to ... that he ... 자기의 왕 자기의 하나님을 저주할 것이며 위를 쳐다보거나 it ... that ~ 용법: that 이하의 사실이 일어나다, 즉 자기의 하나님 "자기들 동네 잡신" God 여호와를 가리킬 때 대문자 시작, god 그리스 로마 신화같은 일반 잡신 을 저주하게 된다.

반역세력 친이집트 셉나일당과 다국적 연합군은 그들이 추종하는 왕과 우상을 저주할 것이다.

이사야 8장 22절

땅을 굽어보아도 환난과 흑암과 고통의 흑암뿐이리니 그들이 심한 흑암 중으로 쫓겨 들어가리라

And he shall look to the land, and behold, distress and darkness, weariness of oppression, and to the darkness he is lost.

북이스라엘 호세아 왕이 된 후 앗수르 조공 중단, 이집트와 외교관계 부활을 도모했다. 이에 앗수르 왕은 3년간 포위 점령 후 백성은 몽땅 떠간다.(열왕기하17:1-6)

땅을 굽어보아도 환난과 he shall look to the land, and behold, distress (매우 싯적인 표현이라 난해하다) 이집트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러나 환난이었다, 이집트 구원부대 오지 않았다, 도움을 얻는데 실패했다.

앗수르의 닥쳐 올 끊임없는 압제, 민족의 비참함을 이사야는 탄식한다.

이사야 8장 23절

전에 고통하던 자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 옛적에는 여호와께서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으로 멸시를 당케 하셨더니 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편 이방의 갈릴리를 영화롭게 하셨느니라

For there is no weariness to the one who oppresses her; like the first time, he dealt mildly, [exiling only] the land of Zebulun and the land of Naphtali, and the last one he dealt harshly, the way of the sea, and the other side of the Jordan, the attraction of the nations.

히브리 원어 성경과 안맞는 듯, 이유는 유대인 랍비들이 번역해 놓은 영역본에는 전에 고통하던 자에게는 흑암이 없으리로다 이런 표현이 없기 때문.

there is no weariness to the one who oppresses her her는 이스라엘(land of Israel). 이스라엘을 침략(압제)하는 앗수르 왕에겐 피곤함이 없다, 즉 한두번이 아니다, 실제로 세번 있었다.

옛적에는 여호와께서 스불론 땅과 납달리 땅으로 멸시를 당케
영역본에 확실하게 나온다 first
like the first time, he dealt mildly, [exiling only] the land of Zebulun and the land of Naphtali
앗수르 왕이 첫번째 밀고 들어왔을 때 좀 살살해줬는데 스불론 납달리 백성들만 떠다가 다른 나라로 강제이주시키기만 했다.

후에는 해변 길과 요단 저편 이방의 갈릴리를 the last one he dealt harshly 마지막 세번째가 히스기야왕 제6년, 호세아가 반란 일으킨지 제9년 가장 혹독했다. 북이스라엘 수도 사마리아가 함락되어 전주민 강제이주 당했다.

해변 길 the way of the sea 앗수르 1차 정복때 납달리 땅.

요단 저편 이방의 갈릴리 the other side of the Jordana 앗수르 2차 정복때 르우벤, 갓지파 백성들 떠갈 때.

the attraction of the nations 갈릴리 기독교성경엔 나오는데 히브리 성경엔 없다! 열방들의 매력, 즉 많은 주변국들에게 상업적인 매력이었던 이스라엘 땅 전체를 말한다.

갈릴리를 영화롭게 한다 ? 어디에 그런 표현이 있나 ?

참조된 성경: 기독교성경 개역한글 NRSV

이스라엘 왕 베가 때에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이 와서 이욘과 아벨벳마아가와 야노아와 게데스와 하솔과 길르앗과 갈릴리와 납달리 온 땅을 취하고 그 백성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옮겼더라
In the days of King Pekah of Israel, King Tiglath-pileser of Assyria came and captured Ijon, Abel-beth-maacah, Janoah, Kedesh, Hazor, Gilead, and Galilee, all the land of Naphtali; and he carried the people captive to Assyria. 열왕기하, 2 Kings 15:29
그러므로 이스라엘 하나님이 앗수르 왕 불의 마음을 일으키시며 앗수르 왕 디글랏 빌레셀의 마음을 일으키시매 곧 르우벤과 갓과 므낫세 반 지파를 사로잡아 할라와 하볼과 하라와 고산 하숫가에 옮긴지라 저희가 오늘날까지 거기 있으니라
So the God of Israel stirred up the spirit of King Pul of Assyria, the spirit of King Tilgath-pilneser of Assyria, and he carried them away, namely, the Reubenites, the Gadites, and the half-tribe of Manasseh, and brought them to Halah, Habor, Hara, and the river Gozan, to this day. 역대상(1 Chronicles) 5:26
3 앗수르 왕 살만에셀이 올라와서 호세아를 친고로 호세아가 신복하여 조공을 드리더니
King Shalmaneser of Assyria came up against him; Hoshea became his vassal, and paid him tribute.
4 저가 애굽 왕 소에게 사자들을 보내고 해마다 하던대로 앗수르 왕에게 조공을 드리지 아니하매 앗수르 왕이 호세아의 배반함을 보고 저를 옥에 금고하여 두고
But the king of Assyria found treachery in Hoshea; for he had sent messengers to King So of Egypt, and offered no tribute to the king of Assyria, as he had done year by year; therefore the king of Assyria confined him and imprisoned him.
5올라와서 그 온 땅에 두루 다니고 사마리아로 올라와서 삼년을 에워쌌더라
Then the king of Assyria invaded all the land and came to Samaria; for three years he besieged it.

6호세아 구년에 앗수르 왕이 사마리아를 취하고 이스라엘 사람을 사로잡아 앗수르로 끌어다가 할라와 고산 하볼 하숫가와 메대 사람의 여러 고을에 두었더라
In the ninth year of Hoshea the king of Assyria captured Samaria; he carried the Israelites away to Assyria. He placed them in Halah, on the Habor, the river of Gozan, and in the cities of the Medes. 열왕기하 17장, 2 Kings 17

Send Me a Message

귀하의 생각이 중요합니다.

의견 남겨주시길 바래요, 고맙습니다, 무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