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도문 마태복음 6:9-13
교회당 예배 마지막으로 참석했던 건 참 오래전 일이었다.
예배 초반 순서에 사도신경, 설교 끝난 예배 후반 주님 가르쳐주신 기도...
교인들 소모임에서 조차 회중전원이 소리내서 아주 거의 비슷한 속도로 주기도문 암송하고 모임을 파하던 기억, 지금도 그런건가요?
주기도문 출처
나름 교회생활 열심인 기독교인이라면, 자주 암송하는 주기도문 출처 요정도는 확실히 알고 있으리라.
주님이 가르쳐 주신 기도...
9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10나라이 임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11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옵시고
12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13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악에서 구하옵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아버지께 영원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마태복음 6장
마태복음 6장 9-13절 주기도문 출처이다.
그런데 그게 전부가 아니다.
주기도문 저작권
이번엔 누가복음 11장 1절 주기도문 기록이다.
예수 제자들이 예수에게 졸라댄다.
세례요한이 자신의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기도를 예수 제자들인 자기들에게도 가르쳐 달라는 매우 흥미로운 장면이다.
예수께서 한 곳에서 기도하시고 마치시매 제자 중 하나가 여짜오되 주여 요한이 자기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것과 같이 우리에게도 가르쳐 주옵소서누가복음 11장 1절이 기록은 주기도문 저작권 소유가 예수 대신 그의 스승 세례요한에게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아울러 다음 두 사건 기록은, 예수가 세례요한의 제자였다는 합리적 의심을 넘어 추론을 가능케 한다.
- 요한이 말려 가로되 - 예수가 세례요한에게 세례받는 장면
-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와 있다 - 예수 공생애 시작 첫번째 구호로서 원래 세례요한 것이다.
마태복음 누가복음 나란히 읽으면, 따로 읽을 때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인다.
복음서 기록자들은 주기도문에 대해 서로 다르게 또는 보충해서 증언한다.
"저작권은 누구에게" 라는 질문에 누구다 라고 선뜻 답할 수 없음이다.
세례요한이 누구인가? 누가복음 1장 5절, 그의 출신성분 기록이다. 제사장 가문이다.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 누가복음 1장 5절사가랴와 엘리사벳의 아들 세례요한은 신실한 제사장가문 유대교도였기에 평소에 회당에서의 유대인들 표준 기도문으로 기도했을 것이다.
그들이 회당, 성전 혹은 집에서 하던 일상적 기도문은, 마태복음의 그것과 매우 흡사하며 여호와 하나님을 향한 전형적 기도이다 라는 것이 유대인들 견해이다.
따라서 그러한 유대인들의 견해가 틀리지 않는다면, 세례요한의 저작권 대신 유대교 저작권 이것이 더 정확할 수 있겠다.
기독교 핵심교리
한편 주기도문은 기독교 핵심교리에 대해 회의(懷疑)가 들게 한다.
기독교 핵심교리 - 삼위일체 - 이게 과연 예수 혹은 마태복음서 저자 생각이냐 라는 물음이다.
그리하여, 예수를 신으로 떠 받드는 작금의 교회에서 암송할 수 있는가 말이다.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사도 바울의 믿음으로 의롭다 여김을 받는다, 예수십자가 믿으면 다 된다, 예수보혈 믿으면 다 된다...
안 믿으면 구원없다, 행함은 구원 아니다, 율법은 구원 아니다... 오직 믿음이 구원이다... 설교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로서 갈라디아서 로마서에 자주 등장하는 구절이다.
사도 바울의 이신칭의 - 믿음으로 의롭다 여김을 받는다 즉, 믿으면 다 된다 이런 논리는 주기도문과 어울리기엔 이상할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사하여 주옵시고 - 우리가 우리에게 죄 지은 자를 사하여 주면, 하나님이 우리 죄를 사하여 준다 이건데, 우리가 "사하여 주면" 하나님도 그렇게 하신다, 죄로 부터 구원받는다...
먹사가 허구헌날 구원 구원하는데, 바로 죄로 부터 구원(save)받는다라는 뜻이다.
죄사함 받고 구원받으려면 예수십자가 믿어라, 예수보혈 믿어라 이런 야그가 없다, 주님 가르쳐 주신 기도에 어디에 그런 말이 있나?
헐! 주님 가르쳐 주신 기도문에서 바울의 "이신칭의(以信稱義)"와 같은 사상 찾기 어렵다는 말이다.
반기독교 anti Christianity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 세례요한이 자신의 제자들에게 기도를 가르친 기도를 자기들에게도 가르쳐 달라고 예수 제자가 보채니까 예수가 운을 떼는 장면이다.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마태복음 6장 9절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 "(아들하나님인 나와는 다른) 아버지하나님을 일단은 불러라, 그래야 하나님이 나를 쳐다볼 거 아니냐, 즉 내게 관심을 둘 거 아니냐" 그리고 기도를 이어가 말해라.
나 한테 기도하는 게 아니라 아버지 하나님께 기도 - 머여 "기도 들어주기 담당 하나님, 따로 있남?"... 이거 책임 떠넘기기 가튼디.. 아니면 역할분담 하나님들?
그렇다, 마태복음 저자에게 예수와 하나님은 별개이다. 예수≠하나님, 예수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예수 살아있을 그 당시, 세상은 아구스도(Augustus) 디베료(Tiberius) 두 황제 치세였다. 세계의 수도 로마에서 살아서 이미 신이었던 그들 말고, 변방 유대땅 갈릴리 허허벌판 예수에게 신성을 부여한다? 어려운 일이다.
아버지하나님(성부) 아들하나님(성자) 이 둘은(성령까지 셋은) 각체인데 하나이다 라는 삼위일체 썰과 이 구절은 모순 - 반기독교 anti Christianity - 된다.
사탄의 정체
주기도문은 사탄의 정체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아들하나님이 기도하는 법에 대해 묻는 이에게 "아버지하나님, 나 좀 그만 시험하세요" 라고 하란다.
하나님은 누굴 시험하거나, 누구에게 시험을 받지 아니하신다는 (예수의 골육) 야고보 사도 진술이 뒷통수를 때린다.
당 사이트 인기글 "사탄의 정체" 꼭 읽어 보시길.
사람이 시험을 받을 때에 내가 하나님께 시험을 받는다 하지 말찌니 하나님은 악에게 시험을 받지도 아니하시고 친히 아무도 시험하지 아니하시느니라 야고보서 1장 13절 (개역한글)나를 시험하는 것은, 나 자신의 욕심이고 그 욕심은 죄를 낳고 죄가 커서 사망에 이르른다고 (예수의 골육) 야고보 사도는 진술한다.(야고보서 1장)
14오직 각 사람이 시험을 받는 것은 자기 욕심에 끌려 미혹됨이니15욕심이 잉태한즉 죄를 낳고 죄가 장성한즉 사망을 낳느니라 야고보서 1장
이거 그냥 읽어서 이해되는 거 아닌가요...